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이 18일 대구 북구 노곡동 일대 침수 피해 지역을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18일 대구 북구 노곡동 일대 침수 피해 현장을 찾아 조속한 복구에 모든 자원을 동원할 것을 지시했다.김 권한대행은 이날 오후 노곡동 일대 침수 피해 지역 등 전날 집중호우로 인해 재해 우려가 큰 지역을 집중 점검했다. 지난 4월 발생한 북구 함지산 산불로 인한 산사태 위험 지역도 확인했다.김 권한대행은 이 자리에서 "시와 구·군 부단체장, 관계기관은 직접 현장을 발로 뛰며 장비와 시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꼼꼼히 확인해 재발 방지에 힘써달라"고 주문했다.특히 김 권한대행은 이날 피해 주민들을 직접 만나고 조속한 지원 대책도 설명했다.김 권한대행은 전날 긴급 지시를 통해 "피해 우려 지역에는 인근 주민에 대한 대피명령, 재산 피해 최소화를 위한 조치를 철저히 해달라"며 "노약자 등 재난 취약계층 대피 대책도 철저히 마련해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이 18일 대구 북구 노곡동 일대 침수 피해 지역을 찾아 피해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노곡동 일대 침수 피해와 관련해 본격적인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대구시는 이날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김 권한대행 주재로 기상청과 소방, 경찰, 구·군 등 관계기관과 '긴급 점검 회의'를 열고 호우 대비 태세를 점검했다.김 권한대행은 기상청의 호우예비특보 발표로 이날 많은 비가 예상됨에 따라 지하공간과 노후 건축물의 옹벽·축대 점검, 하수관로 정비, 배수펌프 전수 점검, 지자체 주최 행사 전면 취소 등을 지시했다.또한 부단체장들에게 호우에 대비한 행동 요령 안내, 관련 장비·시설의 정상 작동 여부 등을 현장에서 직접 챙겨달라고 당부했다.김 권한대행은 "대통령께서도 재난 대비 관련해서는 과잉 대응이 소극 대응보다 낫다고 말씀하신 만큼,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킨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전 행정력을 집중호우 대비에 쏟아달라"며 "시민 여러분도 안전을 위해 외출 자제 등 스스로 예방할 수 있도록 호우 피해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전날 오후 노곡동 일대는 도로, 주택·상가 20곳, 차량 40대 등이 침수 피해를 입었으며 주민 20여명이 대피했다.노곡동 일대는 금호강변 저지 송미선 하나투어 대표가 18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한경협 CEO 제주하계포럼’에서 500억 원 적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정면 돌파한 리더십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패키지 여행 시장 점유율 33%로 업계 1위였던 하나투어는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직격탄을 맞아 매출이 '0원'으로 수렴했다. 전 세계 국가들이 자유로운 이동을 막아 아무도 외국 여행을 갈 수 없었고 여행업체는 고사 직전이었다. 그런데 5년이 지난 현재 이 회사는 고객 650만 명이 다달이 공식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할 정도로 사업에 활기를 되찾았다.송미선 하나투어 대표이사는 18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한국경제인협회 하계포럼'에서 재도약의 비결로 다시 시장이 열릴 것을 대비하고 '초개인화'를 준비한 점을 꼽았다. 그는 '500억 적자, 코로나 위기를 정면 돌파한 리더십'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제가 2020년 3월 2일 입사했는데 딱 한 달 만에 코로나가 찾아왔다"며 "코로나19 이후 시장이 열리면 어떤 모습으로 시장에 다시 나갈 것인가를 고민해 여행업을 제외한 화장품, 면세점, 호텔, 문화공연, 식음료(F&B) 사업을 모두 정리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나투어는 패키지 여행사라는 이미지가 강했는데 데이터를 보면 자유여행 이용객이 훨씬 많았다"며 "패키지와 자유여행이라는 이분법을 해체하고 새벽 출발, 단체 행동, 쇼핑 강요 등 기존 상품의 단점을 모두 제거했다"고 했다.그 결과물이 패키지 여행과 자유여행을 결합한 상품(하나팩 2.0)이다. 이용객은 하나투어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여행하고 싶은 지역, 호텔, 식당, 관광지를 자유롭게 장바구니에 담아 한꺼번에 결제할 수 있다. 이용객들이 서로 만나는 순간은 공항뿐이다.또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여행 자유화가 이뤄져 한국인들은 눈높이가 굉장히 높은 점을 고려해 여행 상품을 연령대나 목적별로 세분화했다. 먼저 안 가본 여행지, 안 해본 이색 경험을 상품으로 만들었다.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