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아론(왼쪽부터) 감독, 한지서 배우, 김준광 배우가 지난해 ‘타이거 로드’ 촬영 중 충북 영동군의 백두대간 우두령 기념비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제공=라라픽처스 [서울경제] 세 대의 모터사이클이 1625㎞에 이르는 백두대간을 따라 달린다. 지리산부터 백두산까지 이어진 길이지만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로서는 690㎞ 지점에서 끊긴 길이다. ‘끝이지만 끝이 아닌’ 그 길 위에서 주인공들은 탈북민, 분단과 전쟁의 아픔을 경험한 외국인들을 만나며 통일의 희망을 찾는다. 올해 5월 말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공개된 다큐멘터리 영화 ‘타이거 로드’의 줄거리다. 타이거 로드는 ‘호랑이가 자유롭게 다니던 길’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백두대간의 영어 이름이다.영화는 통일에 대한 인식 자체가 희미해진 상황이 안타까웠던 통일부의 고민에서 시작됐다. 통일부 대변인실 홍보담당관실의 정재헌 주무관은 ‘영화’를 떠올렸다. 서울예대를 졸업하고 동국대 영상대학원에서 영화기획으로 석박사 학위까지 딴 정 주무관으로서는 자연스러운 결론이었다. 단편적인 숏폼보다는 호흡이 긴 롱폼 콘텐츠로 통일 문제를 담아낼 방법을 고민하던 차이기도 했다.통일부 내부에서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반기는 목소리가 높았다. 덕분에 지난해 5000만 원의 작지만 귀중한 예산으로 제작에 착수할 수 있었다. 영화를 기획하고 총괄 프로듀서를 맡은 정 주무관은 “서울에 탈북민들이 많지만 지방에도 적지 않고, 처음에는 이해도가 낮은 사람들이 실제로 탈북민들을 만나면서 변화하는 모습을 그리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과거 정부 부처가 웹드라마를 제작하거나 단편영화 공모전을 연 사례는 있었지만 영화 제작은 통일부가 최초다.그렇게 통일부의 ‘영화 제작 용역’이 나왔고, 야심 찬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된 김아론 감독은 평소 취미인 모터사이클에 통일을 더하는 낯선 조합을 떠올렸다. 백두대간을 활보했던 호랑이와 모터사이클 모두 ‘자유’라는 단어를 연상시키는 만큼 직관적인 조합이기도 했다. 곧바로 모터사이클 친구이기도 한 한지서 배우와 김준광 배우에게 백두대간 종주를 제안했고 모두 의기투합했다.이들이 백두대간을 따라 달리며 들은 이야기들은 분단 현실의 다양한 단면을 담고 있다. 우리보다 먼저 분단과 통일을 경험한 독 헤로도토스. 열린책들 제공 ‘역사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 그가 펴낸 책 ‘역사’는 오늘날 서양 최초의 역사서로 여겨진다. 또한 ‘서구 문명’이 그리스·로마에서 중세와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 유럽과 미국으로 이어졌음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책 ‘만들어진 서양’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오히려 정반대의 시각을 지니고 있었다. “고대 그리스인은 자신을 유럽인이라 생각하지 않았”다. 세계를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것도 우스꽝스럽다는 견해를 갖고 있었다고 한다.서양이 ‘단일한 문명’이라는 기존 통념에 도전장을 내미는 책이다. 역사는 “해석과 권력에 의해 재구성된 결과물에 불과하다”며 서구 문명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기틀이 환상에 불과하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오스트리아 빈대학에서 고전 고고학을 가르치는 영국 출신 교수. 주석과 참고문헌을 담은 분량만 78쪽에 이를 정도로 방대한 자료와 근거를 토대로 이 책을 썼다.책은 서양 문명의 경계선 혹은 주변부에 있던 역사적 인물 14명을 들여다보면서 서양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추적한다. 로마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총애한 손녀이자 아시아계 유럽인이었던 리빌라, 십자군에 멸망한 동로마의 망명국 ‘니케아’의 황제 테오도로스 라스카리스, 팔레스타인에서 태어난 미국의 탈식민주의 학자 에드워드 사이드 등이다. 다소 생소할 수도 있는 이들의 삶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대목은 서양이라는 개념 자체가 매우 유동적일 수도 있단 점이다.흔히 단일하다고 믿는 서구 문명의 계보가, 실은 ‘다양한 갈래로 뻗어나간 가지’라는 시점은 무척 흥미롭다. “이성적 사고 등 유럽의 유산으로 여겨지는 것은 사실 동방에서도 발전한 개념”이라고 한다. 그 예시로 아랍 최초의 철학자 알킨디 등을 거론한다. 오늘날 서구와 비서구를 구분 짓는 개념도 17∼18세기에 이르러서야 확산했다고 봤다. “서양 우월주의와 제국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한 철학적, 이념적 근거로 활용되기 적합했기 때문”이다. 영화 ‘300’의 한 장면. 신간 ‘만들어진 서양’은 이 영화에 대해 “스파르타인은 흰 피부에 자유를 사랑하는 유럽인으로 묘사한 반면, 페르시아인은 도덕적으로 타락하고 육체적으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