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중심 소극적 대응하던 日항공망·병원 공격받자
예방중심 소극적 대응하던 日항공망·병원 공격받자 달라져경찰·자위대 해킹 징후 감지땐상대 해커 선제공격 나서기로사이버 우산 구축한 이스라엘국가주요 인프라 실시간 방어軍사이버사령부 1만명 키워韓 사이버법 20년째 제자리컨트롤타워 없고 공조도 안돼◆ 사이버 안보 경고음 ◆"지금의 한국 상황을 보면 5년 전 일본을 보는 것 같다."도쿄 올림픽 전후에 일본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자문을 제공했다는 에란 슈타우버 울트라레드 대표는 "당시 일본을 공격했던 해커들은 단순 금전적 이득을 넘어 올림픽 준비 방해와 기밀 정보 수집, 정치적 혼란 유발, 대회 시스템 교란까지 시도했다"면서 "현재 한국 모습이 2020년을 전후한 일본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다"고 진단했다. 울트라레드는 해킹 공격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자동 탐지하는 솔루션을 공급하는 회사다. 도쿄 올림픽은 올림픽 역사상 가장 많은 사이버 공격이 벌어진 행사로 꼽힌다. 통신 분야 공식 스폰서였던 일본전신전화공사(NTT)가 2021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도쿄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에 디도스(DDoS)·랜섬웨어 등 NTT가 방어한 사이버 공격은 4억5000만건에 달했다. 방송국·전력·교통망 같은 주요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공격이 감행됐고 일본 정부기관과 올림픽 조직위원회까지 해킹 표적이 됐다.사이버 공격은 올림픽 이후에도 이어졌다. 2021년엔 도쿠시마현 공립병원과 오사카 급성환자종합의료센터가, 2022년엔 정부 행정정보포털이 공격받았고 2023년에는 나고야항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 중단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에는 일본항공(JAL)과 미쓰비시UFJ은행, 미즈호은행, NTT도코모 등이 연달아 피해를 입었다.에란 슈타우버 울트라레드 CEO일본 정부는 중국 등 국가 단위 해킹 세력의 위협이 국가 시스템을 흔들고 국민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자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다. 지난 5월 '적극적 사이버 방어법(사이버 대처 능력 강화법)'을 제정·공포한 것이다.이 법은 중대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이버 공격 시도가 감지될 경우 경찰과 자위대가 선제적으로 적 서버에 침입해 무력화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2027년 시행될 예정이며 내각에 신설될 '사이버 장관'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예방중심 소극적 대응하던 日항공망·병원 공격받자 달라져경찰·자위대 해킹 징후 감지땐상대 해커 선제공격 나서기로사이버 우산 구축한 이스라엘국가주요 인프라 실시간 방어軍사이버사령부 1만명 키워韓 사이버법 20년째 제자리컨트롤타워 없고 공조도 안돼◆ 사이버 안보 경고음 ◆"지금의 한국 상황을 보면 5년 전 일본을 보는 것 같다."도쿄 올림픽 전후에 일본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자문을 제공했다는 에란 슈타우버 울트라레드 대표는 "당시 일본을 공격했던 해커들은 단순 금전적 이득을 넘어 올림픽 준비 방해와 기밀 정보 수집, 정치적 혼란 유발, 대회 시스템 교란까지 시도했다"면서 "현재 한국 모습이 2020년을 전후한 일본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다"고 진단했다. 울트라레드는 해킹 공격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자동 탐지하는 솔루션을 공급하는 회사다. 도쿄 올림픽은 올림픽 역사상 가장 많은 사이버 공격이 벌어진 행사로 꼽힌다. 통신 분야 공식 스폰서였던 일본전신전화공사(NTT)가 2021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도쿄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에 디도스(DDoS)·랜섬웨어 등 NTT가 방어한 사이버 공격은 4억5000만건에 달했다. 방송국·전력·교통망 같은 주요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공격이 감행됐고 일본 정부기관과 올림픽 조직위원회까지 해킹 표적이 됐다.사이버 공격은 올림픽 이후에도 이어졌다. 2021년엔 도쿠시마현 공립병원과 오사카 급성환자종합의료센터가, 2022년엔 정부 행정정보포털이 공격받았고 2023년에는 나고야항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 중단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에는 일본항공(JAL)과 미쓰비시UFJ은행, 미즈호은행, NTT도코모 등이 연달아 피해를 입었다.에란 슈타우버 울트라레드 CEO일본 정부는 중국 등 국가 단위 해킹 세력의 위협이 국가 시스템을 흔들고 국민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자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다. 지난 5월 '적극적 사이버 방어법(사이버 대처 능력 강화법)'을 제정·공포한 것이다.이 법은 중대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이버 공격 시도가 감지될 경우 경찰과 자위대가 선제적으로 적 서버에 침입해 무력화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2027년 시행될 예정이며 내각에 신설될 '사이버 장관'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된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국가를 목표로 한 심각한 사이버 공격이 국가의 주요 안보 우려 사항이 됐다"며 법
예방중심 소극적 대응하던 日항공망·병원 공격받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