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 25-05-25 23:43 조회 97회 댓글 0건본문
인천 송도
인천 송도 국립세계문자박물관에 마련된 귀스타브 도레 특별전 '상상해, 귀스타브 도레가 만든 세계'에 전시된 도레의 삽화를 주제로 한 영상. /영상 = 오진영 기자 벽면을 가득 메운 거인의 그림이 위아래로 움직일 때마다 관람객들의 탄성이 터졌다. 프랑스의 국민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속 장면을 묘사하는 거대한 삽화가 마치 살아 있는 듯 꿈틀댔다. 기괴하지만 신비롭고 환상적인 그림에 관람객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스마트폰을 들고 '인증샷'을 남기는 10여 명의 학생들이 눈에 띄었다.유럽의 가장 위대한 삽화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귀스타브 도레가 인천 송도의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을 찾았다. 문자와 삽화를 연결한 색다른 구성으로 유럽의 고전 명작들을 고스란히 옮겨놓았다. 도레가 직접 작업한 진본을 프랑스 박물관에서 직접 옮겨와 문자와 삽화가 함께 빚어낸 이야기에 몰입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이번 전시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역동적인 삽화다. 음식을 먹는 거인 가르강튀아의 모습이나 '노수부의 노래' 속 늙은 수부(선원)가 타던 배가 바다에 휩쓸리는 모습을 담은 영상, 실제 크기의 '장화 신은 고양이' 그림은 삽화를 잘 모르는 사람에게도 인상적이었다. 돈키호테나 단테의 '신곡' 등 작품의 삽화도 집중해서 볼 수 있게 놓여 있다. 작품에서 삽화로 전환하는 배치도 자연스럽다. 인천 송도 국립세계문자박물관에 마련된 귀스타브 도레 특별전 '상상해, 귀스타브 도레'에 전시된 도레의 삽화. 프랑스에서 원본을 대여해 왔다. /사진 = 오진영 기자 근대 일러스트의 기초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 도레의 작품들은 하나같이 이해가 쉽고 직관적이다. 당시 유행하던 인상주의나 사실주의에 종속되지 않고 세밀한 묘사와 극적인 구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그린 삽화는 연극을 보는 듯한 느낌도 준다. 전시회 관계자는 "도레는 문학 속 이야기를 생생하고 강렬한 그림으로 표현했다"며 "도레의 삽화가 또 하나의 언어가 됐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문자와 삽화가 무슨 관계가 있느냐 영화 '청명과 곡우 사이'에서 장례식 장면 촬영 중인 배우 박정자 [촬영 류호준] (강릉=연합뉴스) 오보람 기자 = "즐겁고, 신나게 해주세요. 슬픈 장면이 아닙니다!"25일 강릉시 순포해변, 영화 '청명과 곡우 사이' 촬영장. 연극계의 '살아 있는 전설' 배우 박정자(83)가 메가폰을 잡은 채 힘껏 소리치고는 어깨춤을 추기 시작했다.그의 앞에 일렬로 늘어선 약 150명은 북과 꽹과리, 장구 장단에 맞춰 박정자를 향해 행진했다. 선두에 선 이들은 양손을 번쩍 들어 올려 좌우로 흔들면서 까르르 웃음을 터뜨렸다.박정자도 흥이 난 모양인지 마치 스텝을 밟는 것처럼 발걸음을 옮겼다. 바람에 흩날리는 연두색 원피스 자락 아래로 빨간 구두를 신은 발이 경쾌하게 움직였다.한바탕 축제가 벌어졌다고 오해한 구경꾼들이 촬영장 주위로 삼삼오오 모여들었다. 하지만 해변에 놓인 자그마한 꽃상여를 보더니 의아하다는 듯 술렁거렸다.이날 촬영하는 장면은 박정자가 영화에서 맡은 배역 '그녀'의 장례식 신이다. 박정자는 조문객 역으로 보조출연자들을 섭외하는 대신 실제 지인 150명을 불렀다. 영화의 한 장면이지만 조문객은 박정자의 실제 지인인 만큼 일종의 '생전 장례식'인 셈이다. 그는 이 장면을 "(장례식) 리허설"이라고 표현했다. 영화 '청명과 곡우 사이'에서 장례식 장면 촬영 중인 배우 박정자 [촬영 류호준] '청명과 곡우 사이'는 배우 유준상이 연출한 장편 영화로, 기억을 잃어가는 80대 배우 '그녀'의 삶과 죽음을 그린다.현장에서 만난 유 감독은 "죽음을 생각하며 '환한 웃음으로'라는 노래를 작곡했다. 처음엔 이 곡을 바탕으로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려다 영화로 만들기로 했다"며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박정자 선생님과 잘 어울릴 것 같아 출연을 부탁했다"고 설명했다.이어 "장례식 장면이 있다고 말씀드리니 '유 감독, 내가 부고장을 돌리면 어떨까' 하시더라"고 돌아봤다.이날 촬영장에서 곡소리와 눈물이 아니라 웃음과 환호, 박수가 끊이지 않은 건 박정자가 부고장을 통해 한 당부 때문이다. 그는 이 장면을 '장례 축제'로 만들고 싶었다고
인천 송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